출판사의 책 소개페이지에 적혀있는 말처럼 대학에서 장애인 복지론을 수강하고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한다고 해서 다양한 장애유형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또한, 실무에서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얻을 수 있는 방법도 많지 않은 편이다. 나의 경우에는 해외의 논문이나 해외 서적을 참고하였는데 언어의 장벽 때문에 고충이 많았다.
발달장애, 발달장애인을 이해하는 접근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의료적은 접근, 심리정서적 접근, 인지행동적 접근, 특수교육적 접근, 서비스실천적 접근, 정책제도적 접근 등 그 방법에 따라, 이해하는 학문적 지형에 따라 각각 고유한 내용들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 이 책에서는 서비스 실천적 및 정책제도적 접근방법을 택하고자 한다. 집필진의 대다수가 사회복지학적 배경을 갖고 있기도 하거니와, 이 책의 주된 독자를 사회서비스 실천 현장에서 근무하거나 발달장애를 정책적으로 다루는 전문가들로 상정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발달장애인의 영유아기나 아동기를 다루기보다는 주로 성인기 이후의 발달단계를 다룬 것과 무관하지도 않다.
제1부 발달장애 이해 및 이념적 접근
제1장 한국현실 속에서의 발달장애 - 김진우(덕성여자대학교)
제2장 발달장애에 대한 이해 - 서동명(동덕여자대학교)
제3장 발달장애와 정상화 이념 - 김용득(성공회대학교)
제4장 장애연구에의 발달장애인의 배제와 참여 - 김진우(덕성요자대학교)
제2부 발달장애인 지원서비스 패러다임 변화
제5장 정보제공과 의사소통 - 김진우(덕성요자대학교)
제6장 자기결정 - 이복실(한국장애인개발원)
제7장 자조와 자조집단 - 윤재영(삼육대학교)
제8장 권익옹호 - 이동석(성공회대학교)
제9장 학대와 보호 - 김미옥(전북대학교)
제10장 발달장애와 정신건강 - 이용표(가톨릭대학교)
제11장 도덕적 행동에의 대응 - 김고은(광운대학교)
제12장 발달장애인 정책과 서비스에서의 위험과 안전의 균형 - 이호선(성공회대학교)
제13장 발달장애인의 개별서비스 지원계획 - 김행란(소화아람일터)
제14장 직접지불제도와 개인예산제도 - 이승기(성신여자대학교)
제3부 생에 발달과정에서의 과제
제15장 가족지원 - 백은령(총신대학교)
제16장 거주공간 선택 - 이종남(극동대학교)
제17장 발달장애인의 성(性)과 부모되기 - 조윤화(한국장애인개발원)
제18장 발달장애인의 직업활동 - 박경수(한양사이버대학교)
제19장 발달장애인의 노화 - 황규인(교남소망의집)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