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 사직을 온전히 보전하고 유씨의 후예를 들을 보호하기 위한 진평과 한의 고조와 삽혈을 한 일을 마음 깊이 간직하고 여태후에게 맞선 왕릉의 모습은 병자호란 당시의 최명길과 김상헌을 떠올리게 만들었다. 누가 옳고 그른 것이 아니다. 나라를 위한 뜻은 같으나 방법이 다른 그들이 있었기에 한나라와 조선이 후일을 도모할 수 있었으리라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가 역사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자치통감은 어떤 책인가
자치통감(資治通鑑) 은 송나라 때의 사마광(司馬光, 1019~1086)이 쓴 편년체(編年體) 통사(通史)이다. 자치통감 이라는 말을 해석한다면‘정치에 자료가 되는 통시대적(通時代的)으로 거울이 될 만한 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이름은 송(宋)의 영종(英宗)이 붙여주었다. 처음에 사마광이 통지(通志) 라는 이름으로 8권 분량의 역사저술을 지어서 영종에게 바쳤는데, 영종이 자치통감 이라는 서명을 하사(下賜)하였던 것이다.
이 책은 주(周)나라 위열왕(威烈王) 23년(기원전 403년)부터 쓰기 시작하였다. 위열왕이 즉위하는 해부터 쓰기 시작한 것도 아니고 그 중간에서부터 쓰기 시작한 데는 상당한 의미가 있다. 사마광은 송대에 제왕 노릇을 한 일이 없으면서도 문선왕(文宣王)으로까지 존경되었던 공자의 뒤를 잇는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자치통감 은 공자가 써서 경전(經典)이 된 춘추(春秋) 가 끝나는 시기를 이어 받아서 쓰기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즉 이 책에서는 춘추 에서 다루고 있는 춘추시대(春秋時代)의 역사는 쓰지 아니하고, 바로 그 다음 시대인 전국시대(戰國時代)부터 쓰기 시작한 것이다.
공자의 춘추 가 나온 이후 한나라 때의 사마천(司馬遷)이 사기(史記) 를 썼다. 그런데 이 사기 는 공자가 썼던 춘추시대를 다시 썼다. 사마천이 겉으로 공자를 존중한다고 말하였고 일정 범위 안에서는 그러한 태도를 보인 것이 사실이지만, 역사를 쓰는 방법에서는 그렇지 않았던 것 같다. 그래서 오히려 공자가 쓴 시대도 자신이 다시 썼던 것이다. 그뿐만이 아니라 공자가 춘추 를 편년체, 즉 연도순으로 기록하였던 것에 비하여, 그는 사람 중심의 기전체(紀傳體)로 역사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사마천의 태도는 당시 역사책이란 모름지기 사기 처럼 써야하는 것으로 인식 되게 한다. 그래서 역사책으로 인정받던 공자의 춘추 가 사마천의 사기 가 나타난 이후부터는 한층 더 높은 지위라고 볼 수 있는‘경서(經書)’가 되었는데, 역사책이라는 범주에서 본다면, 이는 사마천이 공자를 역사가의 대열에서 쫓아낸 셈이었다. 이처럼 사마천의 사기 는 막강하였다. 그 후로는 하나의 왕조가‘올바른 역사책’이라고 정식으로 인정한 역사책인 정사(正史)는 반드시 사기 처럼‘기전체’로 된 것이어야 했다. 이러한 상황은 송대(宋代)에도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사마광은 역사책을 쓰면서 사마천 이후 거의 1100년간이나 지속되어온 기전체의 역사책을 쓰지 않고, 공자가 채용한 편년체로 이 자치통감 을 썼다. 뿐만 아니라, 사마천이 공자를 존중한다고 하면서도 공자가 썼던 부분을 다시 썼던 것처럼, 사마광도 사마천 이후에 많은 역사가들을 존중한다고 하면서도 그들이 썼던 기전체의 정사(正史)에서 다룬 부분을 이 자치통감 에서 다시 썼다. 그러한 점에서 사마광은 공자의 춘추 를 잇는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이 책을 쓴 것이 분명하다.
또 다른 의미를 찾는다면, 사마광은 이 자치통감 을 통하여 그가 살고 있던 당시에 불고 있던 이른 바‘개혁’바람에 대하여 경고하고 있다. 사마광이 살고 있던 시기는 송나라가 서기 960년에 건국된 이후 근 100년쯤 지난 시기였다. 이 시기는 북방에 있는 요(遼)나라, 서방에 있던 서하(西夏)와 끊임없이 전쟁을 벌여야 했으므로 국가 전체가 경제적으로 어려웠다.
이때 전쟁지역으로부터 떨어져있던 양자강 유역은 점차 개발되었고, 그 경제력에 의하여 이 지역 사람들이 점차 정계에 진출하게 된다. 그리고 그들은 지금까지 송나라를 이끌어온 서북지방 사람들의 보수성 때문에 나라가 이렇게 되었으니‘개혁’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왕안석(王安石)이었고, 그가 이른바‘신법(新法)’이라는 것을 만들어서 개혁을 추진하였다.
여기에 대하여 그동안 정권을 잡고 송나라를 이끌어온 서북지역 사람들을 대표하는 사마광은 그 개혁이라는 것이 겉으로는 참으로 좋고 시원하게도 느껴지지만, 그러한 급진적인 변화는 실제에 있어서는 모두 실패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그는 점진적으로 고쳐 나가는 것이 혼란을 막고,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입장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자기의 주장에 대한 증거를 역사에서 찾아서 대고 싶었다. 결국 사마광은 이 자치통감 을 통하여 이를 웅변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사마광은 신종이 죽은 후 노구(老軀)를 이끌고 잠깐 재상의 자리에 올랐다가 1086년에 죽는다. 이 해에 신법을 주창하였던 왕안석도 죽었지만, 그 후 북송의 정치적 실권은 개혁을 내세우는 신법당(新法黨)에게로 돌아가고, 그들에 의하여 정권은 농락되었다. 개혁적 주장을 하는 신법당 인물들이 정권을 잡았지만 그들의 주장대로 송나라가 부강해지기는커녕, 오히려 금(金)나라에게 황하유역을 내주었고, 황제도 잡혀가는 수모를 당하였다. 그리고 강남지방에서 서기 1126년에 겨우 송 왕조를 재건하는 나약한 왕조가 되고 말았다. 불과 사마광과 왕안석이 죽은 지 40년만의 일이었다.
그러자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상황은 신법당의 급진적 개혁조치의 결과라고 생각하고, 점진적 개선을 주장한 사마광이 쓴 이 자치통감 의 내용은 현실적으로는 많은 귀감(龜鑑)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그리하여 이 책은 널리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자 자치통감 을 절록한 보급형의 저서가 나오게 된다.
자치통감 294권을 50권으로 줄여서 만든 강지(江贄)의 소미통감절요(少微通鑑節要) 와 59권으로 만든 주희(朱熹)의 통감강목(通鑑綱目) 이 그것권이다. 이러한 축약본들은 비교적 널리 읽혀질 수 있었다. 그러고 남송조차도 150년쯤 지난 1279년에 몽골족의 원나라에게 멸망당하고 마는데, 이때의 호삼성(胡三省)이 스스로 송(宋)나라의 유민(遺民)을 자처하면서 자치통감 에 자세한 주를 달아 보다 정확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한 주석서를 서술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볼 때 사마광은 그가 살아 있을 당시에는 비록 보수파라고 하여 공격을 받았고, 개혁파인 왕안석의 신법당에게 정권을 빼앗기고 말았지만 계속되는 중국 민족의 수모의 역사 속에서 살던 선각자들 예컨대 강지와 주희 같은 사람들은 이 책의 보급에 노력을 경주하였고, 몽골족에게 중국 전체를 내준 원대에는 호삼성이 망해버린 송 왕조를 슬퍼하면서 이 책에 주를 달았을 만큼 이 책은 정말로 가치 있는‘정치교과서’로 인정받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자치통감 이 갖는 정치교과서적 의미는 잘 인식되었다. 자치통감 은 중국에서 출간하자 곧 고려로 전해져서 김부식은 삼국사기 를 쓰면서 이 책을 참고로 하였다. 고려 말에는 통감 을 직접 간행하기도 하였으며, 왕들은 경연(經筵)을 통하여 읽게 하였다. 다시 세종대에는 자치통감 을 보다 잘 읽을 수 있도록 훈의(訓義)를 달아서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 라는 책이 저작되었고 또한 국력을 기울여 간행하여 전국적으로 보급하였던 일이 있다.
한나라 시대 5 (기원전 187년~기원전 178년)
여후의 죽음과 문제의 등극
여씨들의 등장과 유씨들의 수난
여태후의 죽음과 여씨의 몰락
황제가 되어 천리마를 돌려보낸 문제 유항
육가와 남월왕 그리고 간언을 채택한 문제
카테고리 없음